11월, 2022의 게시물 표시

서울 지하철 노사 협상 타결‥ 첫차부터 정상운행

서울 지하철 노사 협상 타결‥ 첫차부터 정상운행 출처: MBC뉴스 https://imnews.imbc.com/news/2022/society/article/6432163_35673.html

2022년 11월 MBC 뉴스데스크

  2022년 11월 1일 MBC 뉴스데스크 다시보기 https://youtu.be/JWcik5Ti4EA 2022년 11월 2일 MBC 뉴스데스크 다시보기 https://youtu.be/Yc77FGs-JEk 2022년 11월 3일 MBC 뉴스데스크 다시보기 https://youtu.be/w2LjLonuyts 2022년 11월 4일 MBC 뉴스데스크 다시보기 https://youtu.be/atSKdJjySdU 2022년 11월 5일 MBC 뉴스데스크 다시보기 https://youtu.be/BoqT0m9YT1s 2022년 11월 6일 MBC 뉴스데스크  X  뜨거운세계 다시보기 https://youtu.be/WHRl7dSvzac 2022년 11월 7일 MBC 뉴스데스크 https://youtu.be/Nm5YZsrSG7w 2022년 11월 8일 MBC 뉴스데스크 https://youtu.be/ZzDgj8J9jnM 2022년 11월 9일 MBC 뉴스데스크 https://youtu.be/ve1y9634Dz4 2022년 11월 10일 MBC 뉴스데스크 https://youtu.be/Jaz__8qoxVA 2022년 11월 11일 MBC 뉴스데스크 https://youtu.be/iTLsOrVz91U 2022년 11월 12일 MBC 뉴스데스크 https://youtu.be/gDI626V4VN4 2022년 11월 13일 MBC 뉴스데스크 X MBC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https://youtu.be/VgM-6biiEcY 2022년 11월 14일 MBC 뉴스데스크 https://youtu.be/3SEa04fHbYg 2022년 11월 15일 MBC 뉴스데스크 https://youtu.be/3SEa04fHbYg 2022년 11월 16일 MBC 뉴스데스크 https://youtu.be/0EgMzdz76jw 2022년 11월 17일 MBC 뉴스데스크 https://youtu.be/SST7VJIlvWM 2022년 11월 18일 MBC 뉴스데스크 https://you...

2022년 11월 MBC 5뉴스

  2022년 11월 4일 MBC 5뉴스 https://youtu.be/EDiS3jlzAjo 2022년 11월 7일 MBC 5뉴스 https://youtu.be/6juFfQd4gfk 2022년 11월 8일 MBC 5뉴스 https://youtu.be/DnHIr8zk1HQ 2022년 11월 9일 MBC 5뉴스 https://youtu.be/xpE1q-wKa2A 2022년 11월 10일 MBC 5뉴스 https://youtu.be/kAkM_2cCgco 2022년 11월 11일 MBC 5뉴스 https://youtu.be/OOtcgXJFjtI 2022년 11월 14일 MBC 5뉴스 https://youtu.be/vz2uwQj3KHg 2022년 11월 15일 MBC 5뉴스 https://youtu.be/WgEYqKXuwfA 2022년 11월 16일 MBC 5뉴스 https://youtu.be/gv83R86Hp4g 2022년 11월 17일 MBC 5뉴스 https://youtu.be/XQAEPMQNz8A 2022년 11월 18일 MBC 5뉴스 https://youtu.be/bV-uuLFs47w 2022년 11월 21일 MBC 5뉴스 https://youtu.be/nidR1Gmvh2s 2022년 11월 22일 MBC 5뉴스 https://youtu.be/tid2n2Sq3-c 2022년 11월 23일 MBC 5뉴스 https://youtu.be/cdQH6ihYr1g 2022년 11월 24일 MBC 5뉴스 https://youtu.be/Z9SxLuxBu7c 2022년 11월 25일 MBC 5뉴스 https://youtu.be/W6Zf_fKCqrw 2022년 11월 28일 MBC 5뉴스 https://youtu.be/lVpXJdCUoyw 2022년 11월 29일 MBC 5뉴스 https://youtu.be/DP4O4ByF2Ck 2022년 11월 30일 MBC 5뉴스 https://youtu.be/uwba5ZGPYnM

2022년 11월MBC 2뉴스외전

  2022년 11월1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kBcOYSEDMn0 2022년 11월2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A-RvLBBwhY8 2022년 11월 3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OjtlZmcUMq4 2022년 11월 4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zDfL2lwICEo 2022년 11월 7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RtUZYu1W0l0 2022년 11월 8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q6UbD9UQLEw 2022년 11월 9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aX-t1-MWmWA 2022년 11월 10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JwSvEM9dXSk 2022년 11월 11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Ge9bCCFGE74 2022년 11월 14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vz2uwQj3KHg 2022년 11월 15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JxcxLMLXptA 2022년 11월 16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CGs0Rg4tXDs 2022년 11월 17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L-TrNO4BRa8 2022년 11월 18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U2-bCNI9iFA 2022년 11월 21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EJG-DN0EN9A 2022년 11월 22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lWd3ZddPEnE 2022년 11월 23일 MBC 2 뉴스외전 다시보기 https://youtu.be/K8IEm...

2022년 11월 MBC 12뉴스

2022년 11월 3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PZHMitUzL3I 2022년 11월 4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VIQVZXOgTM 2022년 11월 7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9HTsXQEDIfM 2022년 11월 8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W6eODDuFgtY 2022년 11월 9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XwXbZe-8TjY 2022년 11월 10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xCjmfNciYFQ 2022년 11월 11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eiS8vrQDC9k 2022년 11월 14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pIp_mfMbHuQ 2022년 11월 15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JS-MOh6Moms 2022년 11월 16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WBBgtRvzJ2U 2022년 11월 17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bk-EIS74Fms 2022년 11월 18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tQ80bx_cjEg 2022년 11월 21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Dpfgk8JyYcU 2022년 11월 22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Dpfgk8JyYcU 2022년 11월 23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gwr1zMsBsF8 2022년 11월 24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ThdxcrSZZ7M 2022년 11월 25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https://youtu.be/nryuyDEN8eY 2022년 11월 28일 MBC 12뉴스 다시보기...

2022년 11월 MBC 930 뉴스

2022년 11월 4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Mbm-9XHWxoQ 2022년 11월 7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gf_Nce-V3LQ 2022년 11월 8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ObqApVH_sok 2022년 11월 9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B3zKk1QeBUE 2022년 11월 10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Gl36FnGB-To 2022년 11월 11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r_pJ_6maAd0 2022년 11월 14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4Myi4ytOICQ 2022년 11월 15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aHJdyxkHAV4 2022년 11월 16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HtGP0XAqKSA 2022년 11월 17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tl3eLWfTOW4 2022년 11월 18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GKH2l1Mc6XQ 2022년 11월 21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2AO2ykq1W3I 2022년 11월 22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LAdyK7Ybji0 2022년 11월 23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8fAYmdk_ymc 2022년 11월 24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ulk9lWX0Ylk 2022년 11월 25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OpQ00hQ1Uxs 2022년 11월 28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w7-ks7B1XKc 2022년 11월 29일 MBC 930 뉴스 https://youtu.be/vv-4JgIT41A 2022년 11월 30일 MBC 930 뉴스 htt...

2022년 11월 MBC뉴스투데이

  2022년 11월 1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42A4YlC0-9k 2022년 11월 2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hOl-6P-VJMk 2022년 11월 3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L5GL0TkQNnM 2022년 11월 4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Z4dS0ynvIfU 2022년 11월 5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zwbJDVDxv1g 2022년 11월 7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KGwoG96srrE 2022년 11월 8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q4T8y_3N2Nw 2022년 11월 9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4mwBNCi_lzs 2022년 11월 10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Ckk5SYNSYaM 2022년 11월 11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INafT_Loc-Q 2022년 11월 14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1-H3-FI7ef4 2022년 11월 15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VwAqtgW4OZA 2022년 11월 16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y3JEDCBIxIc 2022년 11월 17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GpLq3Uej8_Y 2022년 11월 18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auYvyxyFMAg 2022년 11월 19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aMtKtFshRmU 2022년 11월 21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2EZjX0ighVg 2022년 11월 22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srzBU22SUSA 2022년 11월 23일 MBC뉴스투데이 https://youtu.be/7Wva3KzSzIU 2022년 11월...

서울교통공사 노조, 총파업 출정식 "구조조정 막아내겠다"

  서울교통공사 노조, 총파업 출정식 "구조조정 막아내겠다" 출처:MBC뉴스 https://imnews.imbc.com/news/2022/society/article/6431972_35673.html

2022년 11월 넷째주 MBC뉴스 시청자의견 게시판 답변 입니다

라디오 종합뉴스 편성확대 의견 mbc표준fm 라디오 종합뉴스는 평일에 방송되는 아침6시 뉴스투데이 수중계와 정오뉴스와 저녁앤뉴스가 있는데, 표준fm 라디오에서 방송되는 아침7시와 8시와 오전11시는 각시간에 아침종합뉴스와 뉴스의광장과 뉴스와경제 재신설해주시고, 저녁7시에는 기존 저녁앤뉴스에서 뉴스포커스와 저녁8시 뉴스데스크 수중계도 부활해주세요~ 표준fm에서 방송되는 뉴스데스크 수중계는 매일저녁 8시부터 평일에는 30분간, 주말에는 20분간 편성해주세요~ 그리고 아침6시에 라디오에서 방송중인 뉴스투데이 수중계는 편성중단 없이 계속 편성 유지해주세요~ A: 표준fm 라디오에서 방송되는 아침7시와 8시와 오전11시는 각시간에 아침종합뉴스와 뉴스의광장과 뉴스와경제 재신설 하고  저녁7시에는 기존 저녁앤뉴스에서 뉴스포커스와 저녁8시 뉴스데스크 수중계도 부활 하겠습니다. 표준fm에서 방송되는 뉴스데스크 수중계는 매일저녁 8시부터 평일에는 30분간, 주말에는 20분간 편성 하겠습니다. 그리고 아침6시에 라디오에서 방송중인 뉴스투데이 수중계는 편성중단 없이 계속 편성 유지 하겠습니다. 스트레이트가 천공때문에 삭제됐습니까. 그래서 붙어있는 뉴스데스크까지 삭제된건가요? 뉴스데스크는 mbc의 상징입니다. 어떻게 유투브에서 삭제할 수 있나요? 다시 올려주십시오. A:  천공때문에 삭제 된것을 양해 바랍니다. 뉴스 유튜브 영상 매일 아침 해외에서 MBC뉴스를 유튜브로 시청하는데 오늘 풀버젼이 업로드가 안되있네요. 가끔가다가 풀버젼이 업로드가 안되었으면 당황스럽습니다. 시청자를 정말로 생각하신다면 이런 것을 꼭 지켜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A: 즉시 처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시청에 불편을 드려 죄송하게 되었습니다. 카타르 월드컵 경기를 mbc에서 시청하고 있는 애청자입니다. 멋진 해설 너무 감사드리며 경기 중 골이 나오거나 선수교체, 파울등 자막에 선수들 이름이 나오는데 소속팀이 나오지않아 너무 아쉽습니다..물론 해설할때 잠깐씩 소개가 되긴하지만...

서울 지하철, 30일부터 파업 돌입‥노사협상 결렬

서울 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 내일(30일)부터 파업에 돌입합니다. 서울교통공사노조와 통합노조로 구성된 연합교섭단은 오늘(29일) 밤 10시쯤 사측과의 최종 교섭 결렬을 선언했습니다. 노사 양측은 인력감축 등 핵심 쟁점에 대한 이견을 좁히는 듯했으나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이에 따라 노조 측은 내일 오전 10시 40분 파업 출정식을 갖고 본격적인 총파업에 돌입한다는 계획입니다. 출처: MBC뉴스 https://imnews.imbc.com/news/2022/society/article/6431765_35673.html

서울 지하철도 멈춰서나‥'파업 D-1' 노사 막판 교섭

앵커 사측의 인력 감축에 반발하는 서울 교통 공사 노조의 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양측이 현재 막판 교섭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교섭이 결렬이 되면 당장 내일 첫차 운행부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취재 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상황 알아보겠습니다. 지윤수 기자, 먼저 지금 교섭 상황 어떻게 되고 있습니까? 기자 네, 오후 2시부터 시작된 양측의 협상은 6시간 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노조가 정한 최종 시한은 저녁 6시였는데 두 시간을 훌쩍 넘긴 겁니다. 핵심 쟁점은 인력 감축 문제인데요. 2026년까지 정원의 약 10%인 1,500여 명을 구조조정하겠다는 교통공사의 계획을 두고 노사가 맞서고 있는 겁니다. 사측은 운임 할인 등으로 적자가 1조원 가량 누적돼 대규모 인력 감축을 피할 수 없다는 입장인데요. 하지만 노조는 역무원과 시민의 안전을 위해선 오히려 안전 인력을 더 늘려야 한다고 반발하고 있습니다. 앵커 협상이 결렬되면 당장 내일 오전부터 파업이 시작되고, 시민들의 출근길도 걱정인데요. 서울시는 어떤 교통 대책을 내놨습니까? 기자 네, 노조 측은 파업에 돌입해도 필수인력이 근무하는 만큼 최소 50% 운행은 지키겠다는 입장인데요. 그래도 출퇴근 시간대를 비롯해 영향이 클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노조 측 자료에 따르면 파업 시 평일 기준으로 지하철 1호선은 평소의 53.5%, 2호선은 72.9%, 3호선은 57.9%, 4호선은 56.4% 운행됩니다. 지하철 5호선부터 8호선까지는 79.8%의 운행율을 보일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시는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출근 시간대만큼은 평소 운행 수준을 유지하겠다며, 퇴직자를 비롯해 대체인력 1만여 명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이렇다 해도 낮 시간대 운행률은 70%, 퇴근시간대엔 85%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서울시는 설명했습니다. 전국철도노조도 인력 충원 등을 요구하며 다음 달 2일 총파업을 예고해 이번 주 내내 출퇴근 혼잡이 예...

총파업 사흘째‥다음주 화물연대-국토부 첫 교섭

  앵커 오늘로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한 지 사흘째입니다. 지난 6월 파업 당시 정부에 요청했던 안전 운임제 확대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다시 시작한 파업인데요, 이르면 오는 월요일, 국토교통부와 첫 교섭에 들어갑니다. 하지만 정부가 '업무 개시 명령'이라는 초강수를 내놓은 상태여서 협상에 난항이 예상됩니다. 남효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화물연대와 국토부는 다음 주 월요일 파업 시작 후 처음으로 대화에 나섭니다. 하지만 입장 차가 좁혀질지는 미지수입니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의 유지와 적용 대상 확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시멘트와 컨테이너 운반 차량에 한해 적용되는데, 이는 전체 화물차의 6% 수준에 불과하니 확대해달라는 겁니다. 하지만 정부는 제도는 3년 연장 유지하더라도 품목 확대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박연수/화물연대본부 정책실장] "구체적으로 정부가 어떤 제안을 하는지 보고 판단을 해야 할 것 같고요. 요구안이 어느 정도 수준까지 좀 달성되지 않으면 파업은 계속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런 가운데 산업계는 피해가 크다며 파업 중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시멘트협회는 "수도권 기지에선 출하가 전면 중단됐다"며 "지난 이틀간 운송 차질로 이미 370억 원의 손실이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한찬수/시멘트협회 홍보팀장] "9월부터 12월 초까지 가장 성수기인 시멘트업계로서는 시멘트 출하가 중단됨으로 인해서 엄청난 손실을 보고 있고요." 레미콘 업계는 오는 29일부터 전국적으로 생산이 중단될 걸로 예상했습니다. 그러면서 시멘트가 없어 당장 월요일부터 공사를 멈추는 건설 현장도 나올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어제 오후부터 오늘 오전까지 전국 주요 항만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평상시의 35% 수준으로 떨어졌고, 이틀간 한국무역협회에는 파업 피해 신고가 53건 접수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만약 다음 주 초 협상이 결렬되면 국무회의가 있는 화요일에 업무개시명령이 내려...

서울지하철 노조 준법투쟁 이틀째‥1·3호선 지연

서울 지하철 1~8호선과 9호선 일부 구간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 준법 투쟁을 이어가면서 출·퇴근길 1·3호선 운행이 지연됐습니다. 오늘 오후 6시 기준 1호선 상행선은 12분, 하행선은 13분 가량 지연 운행됐으며 3호선은 상행선이 15분 늦어졌습니다. 출근길인 오전 9시에도 1호선 상행선과 하행선이 6분씩 늦게 운행됐고 3호선은 하행선이 15분 지연됐습니다. 노조는 사측에 2026년까지 1천500여 명을 감축하는 구조조정안을 철회하고 안전 인력을 확충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으며 교섭이 진전을 보이지 않으면 30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할 방침입니다. 출처:MBC뉴스 https://imnews.imbc.com/news/2022/society/article/6430603_35673.html

학교 비정규직 하루 총파업‥'급식·돌봄' 차질

앵커 전국의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오늘 하루 총파업에 나서 파업 참가율에 따라 학교 급식과 방과후 돌봄 교실 등 운영에 차질이 예상됩니다. 앵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오늘 낮 12시 반부터 서울 여의도 환승센터 인근에서 총파업 대회를 진행합니다. 이들은 정규직과 차별없는 임금 체계와 급식실 종사자에 대한 폐암 산재 대책, 지방교육재정 감축 반대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출처:MBC뉴스유튜브공식채널 https://youtu.be/O1RFzWS0TQk

화물연대 다시 총파업‥'멈춰선 물류' 놓고 강대강 대치

화물연대 다시 총파업‥'멈춰선 물류' 놓고 강대강 대치 앵커 화물연대가 다섯 달 만에 다시 총파업에 돌입했습니다. 당장 오늘부터 전국 주요항만과 산업단지에서 물류 차질이 시작됐지만, 정부와의 공식협상은 시작조차 되지 않고 있습니다. 올해 말로 끝나는 안전운임제를 확대해 달라는 건데, 지난 6월 파업 때와 같은 이유입니다. 차주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수도권 화물의 집결지인 의왕 컨테이너 기지. 하루 2천5백대가 드나들던 화물차 대신, 운전대를 놓은 화물 노동자들이 집결했습니다. 부산과 울산 신항, 전남 광양항 등 전국 16개 물류 거점에서 화물차가 멈춰섰습니다. [이봉주 / 화물연대 위원장] "16시간을 꼬박 일해서 겨우 겨우 생활비를 가져가는 화물 노동자들은 더 이상 죽음과 고통을 연료 삼아 화물차를 움직일 수 없습니다." 물류 운송은 당장 타격을 받았습니다. 전국 주요항만의 화물 반출입량이 절반 넘게 감소했고, 시멘트와 철강, 정유, 조선업계 등 산업계 전반에서 운송 차질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운송 방해 등 불법행위는 엄단 하겠다면서, 우선 비상수송대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쟁점인 안전운임제는 지금은 전체 화물차의 6% 정도만 적용됩니다. 과적이나 과속을 하지 않도록 최저운임을 보장한 이 제도를 계속 유지하고, 다른 화물과 차량까지 대상을 확대하라는 것이 화물연대의 요구입니다. 하지만 정부 입장은 완강합니다. 컨테이너와 시멘트 말고 더 이상 품목을 확대하는 건 어렵다면서, 올해 말로 끝나는 안전운임제를 3년 더 연장해주겠다는 방안만 제시했습니다. 지난 6월, 8일 만에 파업을 풀었던 협상에 대해서도 화물연대와는 다르게 해석하고 있습니다. [원희룡 / 국토교통부 장관(오늘)] "화물연대가 주장하는 것처럼 일몰 폐지 또 품목 확대를 약속한 것이 전혀 아닙니다." 지난 6월 파업으로 2조 원에 육박하는 피해가 발생했던 만큼, 정부는 상황이 심각해지면 처...

화물연대 무기한 파업 돌입‥정부 "강력 대응"

화물연대 무기한 파업 돌입‥정부 "강력 대응" 앵커 화물연대가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습니다. 이들은 안전운임제 적용 확대를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는 불법 행위에 관용 없이 엄정 대응하겠다는 입장이어서 '강 대 강' 대치가 불가피해 보입니다. 김윤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화물연대는 오늘 오전 총파업을 위한 출정식을 열었습니다. 노동자들은 전국 16개 물류 기지에서 화물차와 트럭 운송을 멈추고 안전운임제 확대를 요구하는 구호를 외쳤습니다. 화물연대는 "화물차 사고로 1년에 7백 명 가까이 사망하고 있다"며, "안전운임제만이 화물노동자를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법 제도"라고 말했습니다. 경찰은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경기남부경찰청은 의왕 ICD 등 물류 거점에 17개 중대 1천2백여 명을 배치했습니다. 화물연대가 비조합원 차량의 운송을 방해하거나 사업장을 봉쇄하는 등 불법 행위를 하면 엄정 대응한다는 방침입니다. 주요 항만들은 수출화물을 조기에 반입하고 컨테이너를 보관하는 임시장치장를 확보하는 등 파업 장기화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불법 파업에 대해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화물연대가 운송 거부를 계속하면 장관으로서 운송 개시명령을 내릴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운수종사자가 이를 거부하면 3년 이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 벌금을 물 수 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도 오늘 오전 국정 현안 관계장관회의에서 엄중한 경제 여건을 생각해 화물연대가 대승적으로 판단해 주길 바란다며, 만일 물류를 방해하면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하게 조치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MBC뉴스 김윤미입니다. 출처: MBC뉴스 유튜브 공식채널 https://youtu.be/qoJn2vCy9YM

화물연대 총파업 돌입‥이 시각 부산항

앵커 화물연대가 오늘 새벽 0시를 기해 총파업에 돌입했습니다. 항만과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물류 운송에 차질이 예상되는데요. 부산항에 취재기자 나가있습니다. 김유나 기자, 전해주시죠. 기자 네, 부산신항에 나와있습니다. 화물연대 파업은 새벽 0시를 기해 시작됐습니다. 잠시 뒤 이곳에서 경찰 추산 노조원 8백명이 참여하는 총파업 결의대회가 열릴 예정입니다. 노조는 부산신항 앞에 화물차 7백여대를 세워 놓고 시위에 돌입했고, 곳곳에 경찰력이 배치된 상황입니다. 이번 파업의 쟁점은 화물 기사에게 최소한의 운송료를 보장해주는 '안전운임제'입니다. 앞서 정부는 올해 12월 종료 예정인 안전운임제를 3년 연장하지만 대상을 넓히는 건 어렵다고 발표했는데요. 화물연대는 현재 시멘트와 컨테이너 운반 차량에만 적용되고 있는 '안전운임제' 품목을 확대할 때까지 총파업을 무기한 이어가겠다는 입장입니다. 이번 파업으로, 국내외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의 75%를 처리하고 있는 이곳 부산항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화물연대는 오늘 오전 이곳을 포함해 전국 16곳에서 파업 출정식을 열 예정인데요. 전체 45만대 화물차 중 대다수가 파업에 동참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부는 관용차와 비노조원 차량을 총동원한다는 방침을 밝혔고, 화물연대 측이 운송을 방해할 경우 반드시 처벌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지금까지 부산신항에서 MBC뉴스 김유나입니다. 출처: MBC뉴스 유튜브 공식채널 https://youtu.be/dnN6AjAV41Q

철도·지하철도 준법운행‥출퇴근길 지연 우려

철도·지하철도 준법운행‥출퇴근길 지연 우려 앵커 서울 지하철 1호선부터 8호선까지 운행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사측의 인력 감축 계획에 반발하면서 오늘 준법투쟁에 나섭니다. 출근길 지하철 운행이 지연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합정역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고재민 기자, 지금 상황 어떤가요? 기자 네, 아직 이른 시간이라 이곳 합정역을 이용하는 시민들은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준법 투쟁은 잠시 뒤, 오늘 첫 주간근무자가 투입되는 6시 반쯤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인데요. 우선 이곳 합정역을 지나는 서울 지하철 2호선과 6호선을 비롯해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지하철 1호선부터 8호선 모두에서 준법투쟁이 이뤄집니다. 노조는 안전 운행을 이유로 통상 30초 내인 정차 시간을 늘리는 방식으로 준법투쟁을 진행할 예정인데요. 노조는 대국민 호소문을 통해 "정시성과 효율을 높이려 그간 해 온 관행을 타파하겠다"며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관련 법률과 규정을 준수하면서 운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때문에 배차 간격이 짧고, 탑승객이 많은 출·퇴근 시간대 지하철 운행에 차질이 빚어질 걸로 예상됩니다. 서울교통공사는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환승역 등에 승객 질서 유지 인력 170명을 추가 투입합니다. 또, 열차 지연에 대비한 인력과 기술인력도 추가로 확보했습니다. 이번 준법투쟁은 서울시와 사측이 오는 2026년까지 1,500명 넘게 인력을 줄인다는 방침에 반발하는 차원입니다. 노조는 내일과 오는 28일 예정된 교섭에서 진전이 없으면, 오는 30일 총파업에 나서겠다고 예고했습니다. 한편, 경의·중앙선과 수인분당선 등을 운행하는 코레일의 철도노조 역시, 오늘 오전 9시부터 준법투쟁에 참여해 수도권 전철과 열차 운행도 차질이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서울 지하철 2호선 합정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출처: MBC뉴스 유튜브 공식채널 https://youtu.be/pA3VFl955Zg

이 시각 부산항 화물연대 총파업 돌입

이 시각 부산항 화물연대 총파업 돌입 앵커 화물연대가 오늘 새벽 0시를 기해 총파업에 돌입했습니다. 항만과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물류 운송에 차질이 예상되는데요. 긴장감이 감돌고 있는 부산항에 취재기자 나가있습니다. 김유나 기자, 전해주시죠. 기자 네, 지금 시각은 아침 6시 10분경입니다. 평소라면 제가 서있는 부산신항 앞에는 컨테이너 화물 운반 차량이 한창 지나다닐 시간인데요. 오늘 새벽 0시, 화물연대 파업이 시작되면서 화물차들이 이렇게 줄지어 서있고, 거리가 한산합니다. 이번 파업의 쟁점은 화물 기사에게 최소한의 운송료를 보장해주는 '안전운임제'입니다. 앞서 정부는 올해 12월 종료 예정인 안전운임제를 3년 연장하지만 대상을 넓히는 건 어렵다고 발표했는데요. 화물연대는 현재 시멘트와 컨테이너 운반 차량에만 적용되고 있는 '안전운임제' 품목을 확대할 때까지 총파업을 무기한 이어가겠다는 입장입니다. 지난 6월 파업 당시 화물 운송이 잇따라 중단되면서, 일부 부두는 마비 상태에 이르렀는데요. 이번 파업으로, 국내외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의 75%를 처리하고 있는 이곳 부산항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화물연대는 오늘 오전 이곳을 포함해 전국 16곳에서 파업 출정식을 열 예정인데요. 전체 45만대 화물차 중 대다수가 파업에 동참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부는 군대 위탁 차량 같은 관용차량을 투입하고 화물연대에 가입하지 않은 차량도 총동원한다는 방침이고요. 경찰은 불법 행위는 엄단하겠다고 밝히고 파업하는 화물연대 소속 기사들이 출입구를 봉쇄하거나, 다른 차량의 운송을 방해할 경우 반드시 처벌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지금까지 부산신항에서 MBC뉴스 김유나 입니다. 출처: MBC뉴스 유튜브 공식채널 https://youtu.be/qhvqpbONulU

"언론탄압 멈춰야" 현업단체 비판‥국경없는기자회도 '유감'

"언론탄압 멈춰야" 현업단체 비판‥국경없는기자회도 '유감' 앵커 윤석열 대통령에게 질문을 하는 과정에서 대통령실 비서관이랑 설전을 벌인 MBC 기자를 해치겠다는 글이 올라와서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는 소식을 어제 전해드렸죠. 언론단체들은 대통령실과 여당의 이른바 '좌표 찍기'가, 언론인에 대한 부당한 공격으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강력하게 반발했습니다. 국경없는기자회도 MBC를 향한 대통령실에 조치에 유감을 나타냈습니다. 이동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국기자협회와 PD연합회, 방송기술인연합회 등 현업 언론인단체 6곳이 공동성명을 냈습니다. 이들은 "윤석열 정부의 파상적인 언론탄압이 극렬 지지자들의 언론인 테러와 살해 협박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비속어 파문 보도에 대한 보복조치로 전용기 탑승 배제에 광고 탄압까지 언급되고, 윤 대통령이 '악의적 보도'라며 비판한 것이 이번 사태의 배경이 됐다는 겁니다. 언론단체들은 "사과 한마디면 끝났을 일을 끝까지 책임을 전가하다, 극렬 지지자들의 백색테러 협박까지 초래하게 됐다"며 "그 책임은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실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동훈/한국기자협회장] "윤석열정부는 폭력과 테러 위협을 일삼는 자들에 대해 엄중히 처벌하고, 단속하겠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밝혀야 할 것입니다." 비영리 국제기구인 '국경없는기자회'도 전용기 탑승 배제 조치와 대통령 약식 회견 중단 등 관련 상황에 유감을 나타냈습니다. 이들은 "가장 최고위 선출직이라 해도 자신들에 대해 보도할 수 있는 언론을 직접 정하거나, 어떤 질문이 적절한지 결정해선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윤 대통령의 약식 기자회견은 투명성에 기여해왔다"며 즉각적인 재개를 촉구했습니다. 이번 협박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은 부산경찰청에서 서울청으로 사건...

오늘도 이어진 도어스테핑 중단 논란, 여권 "처음부터 반대"

오늘도 이어진 도어스테핑 중단 논란, 여권 "처음부터 반대"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출근길 약식 회견을 중단한 것과 관련해서 정치권에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MBC에 책임을 돌리면서도, 내심 잘 됐다는 반응들이 나오고 있고요. 반면 야당에서는 이럴 거면 다시 청와대로 돌아가라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조희원 기자가 전해 드리겠습니다. 리포트 김종혁 국민의힘 비대위원. 오늘 아침 라디오에서 자기는 처음부터 반대했다고 말했습니다. [김종혁/국민의힘 비대위원(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 "저는 사실은 도어스테핑에 대해서 처음부터 반대를 했던 사람이에요. 반드시 문제가 생길 것이다." 민주당은 출근길 약식회견은 쇼에 불과했다며, 차라리 청와대로 돌아가라고 요구했습니다. [박홍근/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대통령실 용산 이전 강행의 유일한 이유는 개방과 소통이었습니다. 퇴행할 바에는 지금이라도 차라리 청와대로 다시 돌아갈 것을 촉구합니다." 출근길 회견은 윤 대통령의 거친 발언으로 여러차례 논란을 빚어 왔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지난 7월 5일)] "<인사 실패라는 지적이…> 그럼 전 정권에 지명된 장관 중에 이렇게 훌륭한 사람 봤어요?" 여권에서는 그만 하라는 지적이 쏟아졌지만, 그럴 때마다 윤 대통령은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지난 8월 17일/취임 100일 기자회견)] "도어스테핑 때문에 지지가 떨어진다고 당장 그만두라는 분들이 많이 계셨습니다만, 그거는 제가 용산으로 대통령실을 옮긴 가장 중요한 이유이고 비판을 받는 그런 새로운 대통령 문화를 만들어내는 과정이기 때문에…" 약식회견을 다시 할 지에 대해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지난주 금요일 일이 반복되면 안 한만 못하게 된다"면서 "재발방지" 얘기를 다시 반복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

'대통령에 추가 질문' MBC 기자 신변 위협‥수사 착수

'대통령에 추가 질문' MBC 기자 신변 위협‥수사 착수 앵커 윤석열 대통령에게 추가 질문을 하고 대통령실 비서관이랑 설전을 벌였던 MBC 기자를 해치겠다는 협박 글이 올라와서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경찰은 해당 기자에 대해서 신변보호 조치에 나섰고요, 이 글의 작성자를 쫓고 있습니다. 윤수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극우 성향 온라인 커뮤니티 '일간베스트'에 어제 오전 올라온 글입니다. 지난 18일 MBC 기자와 대통령실 홍보기획비서관이 설전을 벌인 짧은 영상과 함께, 자신이 총대를 메고 기자를 해치겠다고 적었습니다. "MBC를 찾아가겠다"고 밝힌 이 작성자는 구체적인 범행 도구까지 언급했습니다. MBC의 비속어 논란 보도를 '악의적 가짜뉴스'라고 규정한 윤석열 대통령에게 추가 질문을 하고, 비서관과 언쟁을 벌인 MBC 기자를 섬뜩한 표현으로 협박한 겁니다. 시민들의 신고를 접수한 경찰은 해당 기자의 안전을 확인한 뒤 스마트워치를 지급하는 등 신변보호 조치에 나섰습니다. 또 게시글이 작성된 인터넷 IP 주소를 특정하고 작성자를 추적하는 등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현재 문제의 글은 삭제됐지만, 해당 게시판에는 여전히 MBC 기자를 향한 거친 반응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MBC 기자의 개인 전자우편에도 원색적인 비난과 협박의 표현이 들어간 메일이 주말 이후 수백 통가량 쏟아졌습니다. 최근 여권을 중심으로 MBC 기자의 질문 태도와 옷차림 등을 문제 삼는 비난이 집중된 뒤, 기자 개인을 향한 공격 수위와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MBC 기자협회는 "기자에 대한 물리적 협박과 위협은 언론자유의 근간을 흔드는 매우 위중한 사안"이라며, "비이성적인 공격을 멈추고 경찰은 엄중히 수사하라"고 촉구했습니다. MBC는 협박 글을 올린 작성자들에 대해 수사 의뢰와 고발 등 강력히 대처할 방침입니다. MBC 뉴스 윤수한입니다. 출처:...

화물연대 파업 0시부터 돌입‥노동계 잇따라 줄줄이 파업

  앵커 화물연대가 오늘 자정부터 본격적으로 파업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전국의 주요 항만과 산업 단지 등을 중심으로 물류 운송에 차질이 예상되고 있는데요. 수도권 물류 이송의 중심지인 의왕시 컨테이너 기지에 취재기자가 나가 있습니다. 박진준 기자를 연결해 보겠습니다. 박 기자, 이제 파업 시점이 임박했는데 그곳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이 곳 의왕컨테이너 기지는 수도권으로 들어오고 나가는 화물들이 모이는 곳인데요. 하루 2500대 정도의 화물차가 드나듭니다. 파업 돌입 시점을 몇시간 앞두고 이 곳 컨테이너 기지는 비상근무에 들어갔습니다 일부 화물연대 조합원들은 화물차에 플래카드를 내걸며 파업 참여를 알렸습니다. 화물연대는 내일 오전 이곳을 포함해 전국 16곳에서 파업 출정식을 개최할 예정인데, 전체 45만 대의 화물차 중 대다수가 파업에 동참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어제 정부는 올해 말 종료 예정인 안전운임제를 3년 연장하지만 다른 화물차 대상으로 확대하는 건 어렵다는 입장을 냈는데 화물 연대는 이를 수용할 수 없다며 파업을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현장에서 화물차 노동자들을 만나보니 단순 연장은 미봉책에 불과하다, 파업에 참여하겠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앵커 정부는 지금 화물 연대 측의 운송 거부를 불법 행위라고 규정하면서, '엄중하게 대처하겠다', 이렇게 강경한 입장으로 맞서고 있는데요. 양측의 입장 차이가 여전한 상황인 거죠? 기자 네, 현재 양측의 공식 교섭은 없는 상태고 정부는 비상수송대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군대 위탁 차량같은 관용차량을 투입하고 화물연대에 가입하지 않은 차량도 총동원한다는 방침입니다. 경찰은 불법 행위에 대해선 엄중 처벌 방침을 밝히고 파업하는 화물연대 소속 기사들이 출입구를 봉쇄하거나 다른 차량의 운송을 방해하는 경우 반드시 처벌하겠다는 경고를 했습니다. 내일 화물연대 파업을 시작으로 연말, 철도와 지하철이 멈추게 되는데 내일은 철도노조와 서울 지하철 노조가 준법 운행에 나서면서 운행 시간이 평소보다 늦어질 것...